
건축이란 인간의 삶이 펼쳐지는 무대이다
건축의 역사를 장황하게 나열한, 종래의 서적들은 너무도 방대하여 망망대해에서 방황하는 듯한 느낌을 줄 수도 있다.
꼭 건축사를 전공하지 않더라도 건축 분야에 종사하기 위해서는 지난 건축 경향의 흐름부터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이 책은 서양건축사의 간략하고 명확하게 전체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전체적인 조망을 통해 시야를 넓혀주는 책이다.
따라서 유럽건축사에 있어 전반적인 고고학적 연구는 배제하고 있으며, 가장 두드러진 역사적 사실 내용만을 채택하여 포괄적인 이미지를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필자는 서양건축의 흐름 속에서 진솔한 표현과 도시와의 구성을 이 책에 담아내었으며 지난 건축의 흐름을 통해 현대건축을 유추할 수 있게 하였다.
건축작품은 표현작품, 예술작품이 될 수도 있다. 이런 면에서 건축은 조형예술에도 관여하는 것이다.
건축은 인류의 독특한 양식적 요소를 형태로 나타내고 전체적인 양식에 공통적 흔적을 지닌 작품들과의 연관된 가치를 부여받기도 한다.
건축사는 우리가 건축사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사회적 기능이나 기술 분야에 우선을 두지 않는 한 예술사의 분야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개개의 건물에 대해 상세하게 해설하는 대신 서양건축사의 흐름을 요약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 필자가 서양 각국을 돌며 직접 찍은 다양한 도판들을 수록하였다.
독자들은 생생한 도판들을 통해 건축물을 간접 경험하게 되고 후일 직접 경험으로 발전시켜 풍요로운 경험을 하고 훌륭한 건축물을 지을 수도 있게 될 것이다.

제1장. 고대 건축
1. 고대 건축 2. 이집트 건축 분묘건축 / 스핑크스 / 오벨리스크 / 신전 3. 메소포타미아 건축 바빌론 국가의 형성 / 아시리아 제국
제2장. 그리스건축
1. 에게 시대의 건축 2. 그리스 도시 3. 아크로폴리스 4. 그리스 극장
제3장. 로마건축
1. 로마의 형성 2. 로마의 도시계획 3. 로마 공공건축 4. 포럼 5. 신전과 무덤 6. 극장과 경기장 7. 공중 목욕장
제4장. 로마네스크건축
1. 로마네스크 초기 2. 후기 로마네스크 양식
제5장. 고딕건축(12~16세기 초)
1. 중세도시 2. 대성당의 건축 3. 새로운 양식의 완성 4. 개화와 확장 5. 불꽃식 고딕 6. 건축적 장식의 중요성 7. 유리창 8. 영국식 고딕 9. 독일식 고딕 10. 이베리아 고딕 11. 이탈리아 고딕 12. 군사용 건축
제6장. 이탈리아 유럽의 르네상스
1.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인본주의자 / 완성된 작품: 피렌체 대성당의 돔 / 브루넬레스키의 공간 / 알베르티의 건축이론
도시: 이론과 실제 / 피렌체의 도시궁전 / 로마에서의 르네상스: 고전주의를 향하여 / 성 베드로 성당 / 매너리즘
깜삐돌리오 광장과 16세기의 도시설계 / 민간건축 / 빌라건축 / 반개혁 성향의 교회 2. 유럽의 르네상스 프랑스 / 스페인과 포르투갈 / 영국 / 독일과 중앙유럽
제7장. 고전주의: 규칙과 권력
1. 프랑스에서의 고전주의: 첫 번째 발현 2. 고전적 언어의 구상 3. 보 르 비꽁뜨 성과 프랑스의 주된 양식 4. 베르사이유: 예술과 절대주의 5. 베르사이유를 제외한 건축 6. 건축학회와 공식예술 7. 영국의 고전주의
제8장. 바로크: 새로운 건축적 도시적 공간
1. 이탈리아의 바로크 베르니니와 보로미니의 설립자적인 작품들 / 보급과 다양성 2. 중앙유럽에서의 바로크 오스트리아 영역 / 독일 영역 3. 이베리아 반도의 바로크: 스페인과 포르투갈 4. 영국식 바로크
제9장. 신고전주의, 빛의 건축(1750~1820)
1. 새롭게 만든 고고학적 모델 2. 이론적, 구조적 합리성 3. 프랑스에서의 신고전주의 4. 환상을 품는 건축가들 5. 영국에서의 고전주의 6. 영국에서의 신고전주의 도시계획 7. 유럽에서의 신고전주의 보급 8. 신그리스 양식, ‘Greek Revival’
제10장. 19세기 건축:역사주의와 공업의 사이에서
1. 다수의 역사주의자들 고딕 양식의 복귀 / 영국에서의 신고딕 양식: 회화적인 것에서부터 사회비평에 이르기까지
독일에 서의 신고딕 양식과 민족주의 / 프랑스에서의 신고딕 양식: 세습적이고 합리적인 자각
절충주의 또는 포화상태의 역사주의 2. 건축과 공업 건축에 있어서의 공업의 개입 / 엔지니어의 역할 / 상대적으로 고립된 건축가들 / 합리주의 흐름: 새로운 유형학과 건축혁신 3. 도시계획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 유토피아로부터 수도에 이르기까지 / 문화주의의 대안책 4. ‘아르누보’의 해방
찾아보기
사진출처

배대승
현 인덕대학 건축과 교수 프랑스 국가공인 건축사 건축학 박사 파리12대학 IUP 교환교수 파리 ADP 협력 건축가 파리 RFR 협력 건축가 정림건축, 까치건축
주요저서 《유리건축》, 《서양건축사》, 《건축기하학》, 《현대건축의 이해》
개인 전시회 프랑스 건축사진전 물길따라 생긴 도시건축 사진전
프로젝트 백남준 박물관 UIA 국제공모전 입선 여수 엑스포 주제관 기획관 2012 빠리 올림픽 조형물 계획안
|